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7

#35 무창층, 유창층 [ 소방 및 피난과 관련된 창호 기준 - 2 ] 무창층이란 지상층에 창문이 없는 층을 말합니다. 보통은 건물에 창이 있기 마련이지만, 없는 건물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백화점이나 공장(반도체) 등의 시설용도의 활성화차원에서 창문을 최소화한 건축물입니다. 이런 건물들이 무창층을 가진 건물들입니다. 하지만 창이 있어도 무창층이 되는 요건들이 있습니다. 관렵법령 및 소방방재청에서 하달된 업무지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무창층 - 관계법규 :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 제1항) - 용어정의 : “무창층”(無窓層)이란 지상층 중 다음 각 목의 요건을 모두 갖춘 개구부(건축물에서 채광ㆍ환기ㆍ통풍 또는 출입 등을 위하여 만든 창ㆍ출입구,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을 말한다. 이하.. 2023. 10. 18.
#34 소방/피난관련 창호 기준 [ 소방 및 피난과 관련된 창호 기준 - 1 ] 1) 소방관진입창의 기준 - 관계법규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18조의 2) (신설 2019.08.06) - 적용대상 : 건축법 적용 대상 건축물 (제외 대상 : 대피공간 설치 아파트, 비상용승강기 설치 아파트) - 설치기준 1. 2층 이상 11층 이하인 층에 각각 1개소 이상 설치할 것. 이 경우 소방관이 진입할 수 있는 창의 가운데에서 벽면 끝까지의 수평거리가 40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40미터 이내마다 소방관이 진입할 수 있는 창을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2. 소방차 진입로 또는 소방차 진입이 가능한 공터에 면할 것 3. 창문의 가운데에 지름 20센티미터 이상의 역삼각형을 야간에도 알아볼 수 있도록 빛 반사 등으로 붉은색으로.. 2023. 10. 17.
#33 건축유리-4(복층유리) [ 건축유리 - 4. 복층유리 ] 건축용 유리는 모두 같은 원판에서 시작하지만 어떻게 가공하느냐에 따라서 성능과 용도가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는 원판보다는 코팅을 하거나 판유리를 붙이는 식으로 가공한 제품이 더 많이 사용됩니다. 각 성능에 따라 어떤 유리가 있는 알아봅시다. 4. 복층유리 단열성능 부여를 위해 일정한 공기층을 두고, 유리 2장 또는 3장 이상을 맞붙인 유리를 말합니다. 단열성능 향상을 위해서 로이유리 사용 및 아르곤가스(Ar) 충진, 단열간봉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복층유리의 부자재로는 간봉(Spacer), 부틸(Polyisobutylene), 흡습제(Desiccant), 실런트 등이 있습니다. 1) 단창(단판유리) - 비단열구간에 적용되는 단판유리(1겹)로 창을 하나만 열고.. 2023. 10. 16.
#32 건축유리-3(코팅유리) [ 건축유리 - 3.코팅유리 ] 건축용 유리는 모두 같은 원판에서 시작하지만 어떻게 가공하느냐에 따라서 성능과 용도가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는 원판보다는 코팅을 하거나 판유리를 붙이는 식으로 가공한 제품이 더 많이 사용됩니다. 각 성능에 따라 어떤 유리가 있는 알아봅시다. 3. 코팅유리 고온에서 원판의 표면에 코팅막을 입혀서 만들어 집니다. 코팅면으로 빛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조절하여 실내의 눈부심을 줄여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종류로는 로이유리, 반사유리가 있습니다. 1) 로이유리(저방사유리, Low-E Glass) - 복층유리의 단열성능을 높여 건물의 냉난방비의 절감을 주목적으로 하며, 상온 열방사의 파장영역에서 반사율을 높일 수 있도록 1,200°C의 온도에서 판유리의 표면을.. 2023. 10.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