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7

#03 탑다운 공법 [ SPS, CWS, BRD 탑다운 공법(역타공법)의 비교 ] ​ 설계를 하면서 도심지 공사의 경우 경제성과 공기단축을 해결하기 위하여 톱다운공법을 사용하게 됩니다. ​ 지하굴토 방법으로 3 가지의 특허공법이 사용되는데 각각의 특성을 설명하고, 장단점을 분석하여 실무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 과거 탑다운공법 나오기 전에는 스트러트(Strut, 버팀대)방법, 레이커(Racker)방법 등으로 시공하였습니다. ​ 1. 개요 기존의 스트러트의 한계와 도심지 대규모 대심도 굴착공사가 증가되어 톱다운 공법이 개발되었습니다. 이 공법은 지하층 본 구조물의 기둥과 보를 사용하여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는 방식입니다. ​ 공사 순서에 따라서 ​ 1) Down-Up, 2) Up-Up, 3) Top-Down ​ ​3 가지가.. 2023. 10. 2.
#02 석공사 [ 석재 시공방법 ] 콘크리트 벽체와 경량철골트러스 두가지 방법이 모두 사용되며 장단점이 있으니 검토 후에 사용해야 합니다. 1. 콘크리트 화스너 고정방법 화강석을 콘크리트벽체에 시공할 경우 화스너를 사용합니다. ​ 보통은 화강석 끝선과 콘크리트 벽체의 사이를 120 ~ 150mm로 설계를 합니다. 그러나 외단열을 사용할 경우 셋 앙카가 길어지므로 화강석 하중으로 인하 처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단열재가 부착되어 화강석 끝선까지 150mm 이상이 되면 아래와 같이 화강석 하중을 고려한 특수한 셋 앙카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2. 철골트러스 화스너 고정방법 철골트러스에 화스너를 설치하고 화강석을 부착하는 방법입니다. 3. 철골트러스 CRC보드 위 본드 접착방법 ​철골 트러스에 CRC보드 2겹을 붙이고 .. 2023. 10. 2.
#01 내화구조 및 내화성능 [ 내화구조, 불연재, 내화피복, 내화뿜칠, 내화페인트 ] 건물은 화재시 일정한 시간동안 무너지지 않고 견뎌내야 실내에 있는 사람들이 대피를 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 조적조나 석조건물들은 자연스럽게 내화구조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반면에 목조 건축물은 화재에 취약합니다. 현대에는 많은 건축자재가 개발되고 사용되기 때문에 건축법에서는 인증기관을 통하여 자재들의 내화성능을 인정받도록 하고 있습니다. 건물의 규모나 용도에 따라서 내화기준이 상향되어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버는 것입니다. 2001년 9월11일 미국 맨하탄의 세계무역센터의 건물 2개동이 비행기의 충돌 및 화재로 1시간도 안되어 무너져 내렸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계단으로 피난하는 가운데 운명을 달리하였습니다. ​ 미국이란 나라는 이런 큰.. 2023. 10.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