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_건축시공 및 자재

#27 연결브릿지(Bridge) 시공법

by 건축하는 동네아저씨 2023. 10. 6.
반응형

[ 건물과 건물 사이를 잇는 연결브릿지(Bridge) 시공방법 ]

 

 

 

디자이너들은 건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동선을 위하여 높은 층에 연결브릿지를 설치합니다.

 

요즘에는 단순히 건물과 건물의 동선으로서의 복도 역할에서

 

스카이라운지의 커뮤니티시설을 설치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피트니스를 설치하여 멋진 전망을 보면서 운동을 하거나,

 

카페나 라운지를 설치하여 건물 이용자들에게 핫플레이스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최근 아파트의 공모사업을 보면 아파트의 최상층을 연결브릿지로 연결하여 커뮤니티를 설치하여

 

조합원들의 마음을 홀리는 Wow Effect 요소로 설계도 하고 있습니다.

 

시공팀은 연결브릿지를 시공하기 위하여 공사기간이나 공사비, 시공안전요소를 점검하여야 합니다.

 

 

 

 

[ 용산 이촌동 래미안 첼리투스 건축물 ]

 







철골로 시공하고 외벽에 커튼월글라스로 시공되있습니다.

 

비교적 중량이 적게 나오는 형태입니다.








[ 용산 드래곤시티 호텔 ]

 

연결브릿지라기 보다는 본 구조물에 가깝지만, 고소작업을 하여야 하는 어려운 시공방법은 같습니다.

 









[ 상암동 누리꿈스케어 ]

 

연결브릿지 형태가 다이아몬드의 형상의 입면입니다.

 











연결브릿지 하부에는 BMU(유지관리용 곤도라)가 설치되어 유지관리가 편리하도록 디자인이 되었습니다.

 

 

 

[ 구로동 00건축물 ]









[ 광명역의 GIDC지식산업센터 ]

 

지상에서 조립하여 리프트업공법으로 시공하였습니다.

 

 

 

브릿지를 공사하는 방법은 

 

1)크레인으로 시공하는 방법과 2)리프트업 공법으로 시공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공사 시 중요한 것은 공사비 절감, 공기 단축, 시공 안전을 위하여 어떠한 방법을 사용할지 검토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디자이너는 건물과 건물이 지진, 풍하중에 거동하므로 브릿지와 건물과의 이격을 얼마로 할 것인지와

 

어느 건물에 고정을 할 것인지를 구조엔지니어와 협의하여야 합니다. 

 

건물이 한 쪽은 면진장치를 설치하여 움직임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하며,

 

건축에서는 E.J(Expansion joint)를 시공하여야 합니다.

 

시공팀에서는 BIM을 사용하여 시공 시 부재들의 간섭이나 시공순서를 확인하고,

 

동영상을 작성하여 검토하는 것도 좋습니다.

 

 

 

1)크레인으로 시공하는 방법

 

연결브릿지 경간의 단일부재를 타워크레인이나 이동용 하이드로크레인을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는 중량이 나오는 것을

 

확인 해야 합니다.

 

연결브릿지의 모든 부재를 고공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조립이나 용접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구조재의 조립을 완료하고,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가설부재의 설치가 가능한지도 확인하여야 합니다.

 

위와 같은 내용을 만족하지 않다면 리프트공법으로 검토하여야 합니다.

 

 

 

 

2)리프트업 공법

 

지상에서 연결브릿지의 구조부재와 슬라브 및 외장재를 시공하고

 

고층에 설치된 유압기를 사용하여 들어 올리는 방법입니다.

 

연결브릿지의 모든 중량을 계산하여 유압기를 선택하여야 하며, 고정방법을 검토하여야 합니다.

 

국내에는 이미 많은 연결브릿지가 리프트업공법으로 시공되어 국내에 여러 베테랑 컨설팅업체들이 있습니다.

 

지상에 정반이라는 것을 설치하고 그 위에 몇 미터 위에 연결브릿지를 지상 조립을 하게 됩니다.

 

동시에 고층에는 유압기를 설치하기 위한 가설구조물을 설치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전문업체의 컨설팅을 통하여 위험요소나 시공방법의 주안점을 스터디하여야 합니다.

 

 

 

출처 : 빈자리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