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_건축시공 및 자재

#29 난간별 창호의 종류

by 건축하는 동네아저씨 2023. 10. 11.
반응형

[ 난간별 창호의 구분 ]

 

공동주택(혹은 아파텔 등)의 조망과 외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창호는 적용되는 안전난간에 따라서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크게 철재난간 창호, 입면분할 창호, 유리난간 창호, 통유리 창호(커튼월창호)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유형별로 각각의 특장점이 있으며, 세부 특징별로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합니다.

 

환기/통풍성능, 외부조망, 창호의 비용, 이사 등 고가사다리창의 이용, 국기봉의 설치가능여부, 방충망의 형태(롤방충망), 안전(접합)유리의 적용구간의 요소 등에 대해서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1) 철재난간 창호

  •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며, 법적으로 안전난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바닥에서 1.2m까지 높이로 설치됩니다. 난간에는 함마톤 분체도장이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표면이 요철지도록 마감됩니다.
  • 주택법에서 세대마다 난간에 국기봉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 외부조망 : 난간살로 인해 외부로 향한 시야가 간섭되어 개방감 확보가 미흡합니다.
  • 이사 시에는 창호를 완전히 개방하여 난간 상부로 이삿짐을 이동합니다. 고가사다리차량이 사용 가능합니다.
  • 방충망은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충망이 설치됩니다.

alt="철재난간 창호-내부-외관"

 

 

 

2) 입면분할 창호

  • 주상복합이나 고급주거단지에 적용되는 것으로 시작하여 최근에는 신축 단지에 대중적으로 적용되는 추세입니다.
  • 철재난간 대신에 분할된 하부창호에 접합유리가 적용되어 안전난간의 역할을 합니다.
  • 국기봉은 입면분할 창호에 설치할 수 없으므로 주동 골조에 세대별로 설치되거나 혹은 (최근에는) 동출입구마다 1개소씩 축소 적용되고 있습니다.(주택법)
  • 외부조망 : 철재난간에 비하여 외부조망 및 개방감 확보가 용이하나, 식탁/ 테이블 등에 앉았을때 시선의 위치에 분할프레임이 적용되어 조망성이 더 떨어진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개인차)
  • 철재난간 창호보다 창호의 개폐면적이 작으므로 환기성능은 떨어집니다.
  • 이사 시에는 고가사다리차량을 통한 이사는 할 수 없으므로, 승강기를 통하여 이삿짐 이동을 하여야 합니다.
  • 방충망은 개폐창호에 대해서만 슬라이딩 형태로 적용됩니다.
  • 공사비용은 철재난간 창호 대비 약 110% 정도 상승합니다.

alt="입면분할창호-내부-외관"

 

 

 

3) 유리난간 창호 (혹은 난간매립형 창호, 유리난간 일체형 창호 등 혼용)

  • 앞선 두 가지 유형의 창호보다 한 단계 더 고급사양으로 적용되는 창호입니다. 비용은 철재난간창호 대비하여 125~130% 수준이며, 바다나 산 등 자연의 조망을 극대화하기 위한 하이엔드급 주거단지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세대 전체 창호를 적용하기보다는 거실에만 적용합니다.(비용문제 및 가장 큰 창호가 적용된 공용공간에만 효율적으로 적용)
  • 안전난간의 역할을 접합유리가 대신하며, 접합유리의 상단에 얇은 프레임 하나만 설치되므로 가장 외부조망 및 개방감 확보에 우수한 형태의 창호입니다. (얇은 프레임은 유리+PVB필름+유리가 접합된 엣지면이 날카로워 손이 다칠 수 있으므로 안전상 덮는 커버 역할입니다.)
  • 유리난간의 설치 위치와 디테일은 창호업체마다 상이하나, 대부분 가장 외측 창호와 창호틀 사이에 2~3면 고정하는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방충망의 형태도 적용디테일에 따라서 롤방충망 혹은 슬라이딩 방충망으로 구분 적용됩니다(난간 하부의 개폐여부에 따라 롤방충망 적용가능여부가 차이가 발생). 유리난간 창호의 진정한 메리트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딩 방충망이 적용되는 것이 맞다고 본인은 생각하나, 슬라이딩 방충망이 적용가능한 PL창호업체는 불과 50%도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롤방충망의 하자가 잦은 관계로 적용하지 않기도 합니다. 각 업체별 카달로그 등을 참조하시어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 개방감은 우수하나 입면분할 창호와 동일하게 환기성능은 철재난간 창호에 비해 떨어집니다.
  • 국기봉 설치 및 이사짐 이동은 입면분할 창호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유리난간은 재하실험 및 외풍압테스트 등을 통해서 해당지역의 풍압 및 풍동실험 결과치를 고려하여 설계되어 집니다.(법적기준 기본 8.76T 이상으로 적용됩니다)

alt="유리난간창호-내부-외관"

 

alt="유리난간설치위치"

 

 

 

4) 통유리 창호(커튼월창호)

  • 커튼월 창호에 해당하며, 상하 수직프레임(멀리언) 외에는 수평프레임이 없도록 설계할 수 있으므로 가장 조망 및 개방성 확보에 유리합니다.
  • 앞의 3가지 창호가 모두 PVC창호/이중창호로 적용되어 진다면, 커튼월 창호는 AL창호/단창으로 적용되어 집니다.
  • 가장 유리의 크기가 크게 적용되어 지므로 외풍압테스트 등의 검토를 통해서 적용되어 지며, 필요시 구조보강을 위해서 접합유리 등을 적용합니다.
  • 커튼월 창호는 국기봉은 당연히 설치되지 않을 뿐 아니라 보일러의 연도, 절연교환기 환기캡 등도 외관을 고려하여 루버(그릴)창으로 적용됩니다.
  • 참고로 창이 크면 냉난방 에너지비용이 많이 듭니다. 조망은 유리하나, 인접건물이 있을 경우 세대 내부의 프라이버시 침해의 문제, 혹은 인접건물로의 빛 반사 등의 민원문제가 발생될 우려도 있는 단점도 있으며, 건축물의 전체적인 현황을 고려하여 외관/창호 설계에 반영하여야 합니다.

alt="커튼월창호-내부-외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