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_건축시공 및 자재

#17 보강블럭 시공법

by 건축하는 동네아저씨 2023. 10. 4.
반응형

[ 보강블럭 쌓기 방법 ]

 

건축에서 가장 오래된 자재 중 하나인 시멘트블록에 대한 시공방법과 디테일을 설명합니다.

시멘트벽돌과 함께 조적공사 공정에 속하고, 습식공사(반대말 건식공사)라고 합니다.

보강블록쌓기는 시멘트블록에 철근과 시멘트를 채워서 자체의 하중과 지진 등과 같은 하중에 견디도록 설계합니다.

포스팅을 작성하면서 [BLOCK]이 한국말로 표현할 경우 '블록'이 맞는지 '블럭'이 맞는지 헷갈렸습니다.

저도 처음에 아래의 상세도면에 블럭이라는 표기가 되어 있어 보강블럭으로 작성하는 중에 다른 회사 디테일에는 블록으로 표현이 되어 있어 표준시방서와 네이버 사전을 찾아 보았습니다.

정답은 [블록]이 표준어 입니다.

앞으로는 도면과 시방서에 구분해서 쓰시자구요!!!

건축에 기본적인 내용은 서적을 참조하시고,

 

여기서는 설계사마다 사용되는 여러 좋은 디테일을 모아서 내용을 공유합니다.

아래의 사진은 시공중에 있는 보강블록 쌓기며, 철근이 세워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시멘트블록은 수평하중에 견디도록 아래의 블록메쉬을 설치하고, 4", 6", 8"의 블록메쉬가 사용됩니다.

[보강블록 상세도]

대부분의 설계사들은 회사마다 보강블록 상세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대부분 비슷비슷한데 그 중에 잘 된 상세도를 골라서 올립니다.

 

블록벽의 너비와 높이에 따른 4", 6",8"블록의 사용 기준입니다.

수직보강철근은HD13 @400 or 800mm간격으로 설치하고, 시멘트몰탈을 사춤합니다.

블록메쉬는 #8 @600mm간격으로 설치합니다.

콘크리트기둥과 접합부분은 THK1.6 아연도철판을 3단마다 설치하여, 보강블록의 좌우 횡하중에 견딜수 있도록 합니다.

보강블록과 T자로 만나는 접합부는 THK1.6 아연도철판을 3단마다 설치합니다.

 

보강블록에 문이나 개구부를 설치할 경우 인방 보강방법입니다.

문 상부 인방블록에 철근의 보강방법입니다.

작은 개구부에 설치하는 보강방법입니다.

기둥과 블록의 접합부분에 시멘트몰탈 미장을 할 경우 시간이 지나면 반드시 크랙이 발생됩니다.

따라서 크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조인트 비드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콘크리트인방의 철근배근도입니다.

지하외벽의 차수벽에 설치하는 점검구디테일입니다.

 

가급적 400x400 크기를 크게 하는 것이 배수구의 막힘을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습니다.

각종 개구부 디테일입니다.

직각부분과 모서리부분의 철근을 사용한 보강방법입니다.

차수벽으로 사용된 보강블록 상세도

지하외벽과 차수벽 사이는 최소 100mm 이격을 하고, 방수턱을 설치하고 블록을 쌓아야 합니다.

아래층으로 통수관 DIA50 PVC PIPE를 설치하여 물을 흘려보냅니다.

그러나 항상 시멘트몰탈에 의하여 막힐 수 있으므로 메탈라스등으로 덮어 놓아 막히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지하외벽의 차수벽에 설치하는 점검구(400x200) 디테일입니다.

가급적 400x400 크기를 크게 하는 것이 배수구의 막힘을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빈자리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