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_건축시공 및 자재

#18 단열배수판 시공법

by 건축하는 동네아저씨 2023. 10. 4.
반응형

[ 단열배수판 시공방법 ] 

 

최하층 냉난방을 하는 실이 있는 경우 최하층 바닥에 단열을 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바닥배수판을 설치하고 무근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단열재를 설치하고 무근콘크리트를 다시 시공해야 합니다.

아래의 사진과 같이 배수판 위에 무근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단열재를 설치한 후 무근콘크리트를 다시 한번 타설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무근콘크리트 공정이 두번 들어가므로 공기가 늘어납니다.

단열배수판은 무근콘크리트를 한번 시공으로 끝내는 공법입니다.

 

단열배수판의 하부에 요철(원형콘 등)을 설치하여 바닥에 흘러다나는 물이 집수정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아래의 사진은 상부의 하중이 전달이 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요철이 되어 있고 물길이 설치되었습니다.

시공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바닥을 청소하고 단열배수판을 설치합니다.

2) 각종 전기 배선을 설치합니다.

단열배수판 사이사이에는 우레탄뿜칠을 시공하여 단열 결손이 생기지 않도록 합니다.

3) 전기 아울렛 박스를 설치합니다.

4) 모든 전기배선이 완료되면 이 위에 무근콘크리트를 타설합니다.

아래의 사진은 단열배수판위에 무근콘크리트를 타설하였으며,

콘크리트 외부벽체도 배수판을 설치하고 단열재를 부착하였습니다.

 

벽체에 누수되는 부분은 아래의 단열배수판으로 자연유도될 수 있도록 설치합니다.

아래는 EK단열재를 생산하는 회사의 제품 시공현황입니다.

특징은 단열재 상부에 큰 원형 구멍이 뚫려서 무근콘크리트를 타설시 하중이 구체콘크리트에 전달이 되고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아래의 사진과 같이 지하외벽의 수압이 높아서 내부로 누수가 예상되는 곳은 아래의 벽체 배수판을 외부에 설치한다면,

아주 좋은 방수라고 생각됩니다.

20년전 미국도면을 그리기 위하여 많은 미국시공도면을 검토하는 중에 지하수가 강하게 누수가 될 수 있는 외벽에 배수판을 설치하고 맨 아래에 유공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맨홀로 빼는 디테일을 보았습니다.

너무 좋은 디테일이어서 모 대학현장의 전면에는 옥외광장이 있고 배면에는 산자락이 있어서, 지하수가 많이 발생하고

우수도 유입이 예상되었습니다.

소장과 상의하여 벽체배수판과 유공관을 설치하고 맨홀로 배수하는 디테일을 설치하였습니다.

대 성공이었습니다.

지하층에 누수도 안되고, 습기가 없는 보송보송한 상태의 콘크리트벽체가 연출되었습니다.

건축설계사들도 상기의 디테일을 잘 몰라서 사용을 안하는데, 이제는 과감히 적용을 해보세요.

아래의 오래전의 포스팅에는 각종 배수판에 대한 자세한 사항이 있습니다.

출처 : 빈자리님

 

 

반응형

'3_건축시공 및 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철골 역타공법 - DBS공법  (0) 2023.10.04
#19 계단 측면부 디테일  (0) 2023.10.04
#17 보강블럭 시공법  (0) 2023.10.04
#16 석고텍스 시공법  (0) 2023.10.04
#15 탑다운 공법 - ACT DOWN공법  (0) 2023.10.04